top of page
시나리오작가들이 운영하는 배우에이전트
당사는 시나리오 완성 후, 오디션을 통해 적합한 배우를 캐스팅하는 역순방식이 아닌, 배우개성과 캐릭터를 미리 파악하고, 배우중심의 시나리오를 완성하여 순차적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배우에이전트 창작기법으로 영화를 제작합니다.

캐릭터의 생동감과 몰입도 상승
배우의 실제 성격, 말투, 표정, 연기톤을 반영하여 캐릭터를 구성하므로, 현실감 있는 인물이 완성됩니다.
시나리오가 배우의 특성에 맞춰 설계되기 때문에 역할 소화력이 뛰어나며, 연기가 자연스럽고 강한 몰입감을 유도합니다. 예) 송강호의 실제 말투와 호흡을 반영한 봉준호 감독의 시나리오 구조.
시나리오가 배우의 특성에 맞춰 설계되기 때문에 역할 소화력이 뛰어나며, 연기가 자연스럽고 강한 몰입감을 유도합니다. 예) 송강호의 실제 말투와 호흡을 반영한 봉준호 감독의 시나리오 구조.

배우팬층 활용 기획부터의 마케팅 가능
캐스팅이 선확정되어 있으면 초기 단계부터 배우의 인지도, 팬덤, 이미지를 활용한 투자 유치 및 홍보가 용이합니다.
" 배우 중심 기획작"으로 홍보 가능 → 홍보 콘텐츠, 포스터, 인터뷰 등의 기획이 빠르게 가능.
" 배우 중심 기획작"으로 홍보 가능 → 홍보 콘텐츠, 포스터, 인터뷰 등의 기획이 빠르게 가능.

배우캐릭터에 맞춰 시나리오 조율가능
배우의 **강점(감정 연기, 액션, 코미디, 표정 등)**을 극대화하고, 약점은 배제한 시나리오 설계가 가능합니다.
결과적으로 작품의 완성도와 평판이 향상됨 → 평균 이상의 작품 퀄리티 보장.
결과적으로 작품의 완성도와 평판이 향상됨 → 평균 이상의 작품 퀄리티 보장.

창작자와 배우 창의적인 협업증대
작가와 배우가 시나리오 초기 단계부터 캐릭터에 대해 협의하므로, 보다 입체적이고 다면적인 인물이 탄생.
경우에 따라 배우의 실제 경험, 상상력, 의견이 캐릭터 구축에 반영되어 예측불허의 창의적 전개 가능.
경우에 따라 배우의 실제 경험, 상상력, 의견이 캐릭터 구축에 반영되어 예측불허의 창의적 전개 가능.

배우와 브랜딩형 작품’으로 독립적 IP 확보
특정 배우를 중심으로 기획한 작품은 해당 배우의 시리즈물, 프랜차이즈, 세계관으로 확장이 용이합니다.
예) ‘더 브라이드’ 시리즈(우마 서먼), ‘기생충-송강호 세계관’ 등의 IP화 가능성 증가.
예) ‘더 브라이드’ 시리즈(우마 서먼), ‘기생충-송강호 세계관’ 등의 IP화 가능성 증가.

다양한 배우발굴 및 맞춤 시나리오 개발
무명배우나 개성 있는 배우를 먼저 선정해 맞춤형 스토리를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캐릭터와 스타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기존 시장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창작 중심의 인재 발굴 가능.

김단-1993-184

마영주-2002-155

정빈-1992-173

민재원-1990-175

김연우-2011-161

오혜림-1991-160

황정화-1967-167

황희정-1988-160

소현-1995-166

김도진-1984-176

한다연-1977-170

김진철-1986-178

김누리-2003-166

이건영-1997-172

윤수진-1979-165

임민혁-1991-178

윤진-1993-173

권오성-1983-181

주빛-1986-165

이태율-1971-185

박봉우-1995-160

오채은-1995-169

유현재-1979-178

박상훈-1993-182

장영훈-1992-173
bottom of page